도농이의 일기/토목46 토목 적산의 예시 (백호우 적산) 공무의 가장 큰 핵심은 공사비 산출이다. 그런데 난 지금도 공무일을 잘 모른다. 내 핑계지만 공사비 산출은 많이 어렵고, 딱히 누구한테 배우기도 어렵다. 내가 막~ 이 일을 시작하고 공사비 산출을 여러 곳에 물어 봐지만 아무도 시원하게 가르쳐 주는 사람이 없었다. 정보는 공유되어야 하는데.. (미력하나마 내가 아는 한도내에서) 굴삭기(포크레인)로 공사비를 산출해 보자. 공사비는 재료비,노무비, 경비로 나뉜다 시간당 손료*기계경비 = --------------- 시간당 작업량 시간당 손료 = 시간당 손료계수 x 기계의 값 시간당 손료는 "정부 구매 물자 가격"에서 찾아 볼수 있다. .. 2020. 7. 31. 토목 cad를 배우려는 분들께 그제 40대 중반의 토목기술사까지 갖고 계신 한 현장소장님이 cad를 배우고 싶다고. 나중에 요긴하게 쓸것을 대비해서 나는 굳이 그 연배에 뭐 배울 필요가 있냐고 했지만..... 여하튼 그분의 학구열에 감탄했다. 나 역시도 체계적인 학원에 배운것이 아니라 회사생활하면서 배운거라 심도깊은 얘기는 못 해 드렸지만. 1.토목은 3D까지 배울 필요가 없다. 학원에서는 3개월 코스로 3D까지 배우는데 그럴 필요까지는 없다. 건축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아마 마찬가지 일거다. 2.꼭 필요한 명령어 15개 정도만 알면 웬만한 것은 다 그릴수 있다. 그 다음부터 응용이고, 속도차이 일뿐이다. 보통의 경우 하루에 1~2시간씩 배우면서 7일에서 10일이면 충분하다 3.배울때 명령어를 단편적으로 외우기 보다는 실제 옹벽 .. 2020. 7. 30. 인하전문대내에 있는 수준원점 인천시 남구 용현동 인하공업전문대학. 바로 옆 인하대학교와 캠퍼스를 같이 쓰는 이 대학에 가면 붉은 벽돌로 만든 특이한 시설물 하나를 만난다. 수준원점(水準原點). 높이 3미터 46센치미터, 넓이 2.2평. 흔히 산의 높이를 해발(海拔)로 부른다. 바다로 부터의 높이란 뜻이다. 특정 바다를 기준으로 삼아 해발을 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한국의 바다는 어디를 기준점으로 삼을까? 바로 인천 앞바다다. 이 곳을 기준으로 모든 산의 높이를 잰다. 원점은 쉽게 말해 국토 높이의 기준점이다 2020. 7. 30. 규준틀 (노상, 노체, 동상방지층,보조기층,아스콘) 2020. 7. 30.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